민물고기8 민물고기 - 강준치 강준치란 무엇일까? 임진강ㆍ한강ㆍ금강 ㆍ낙동강 강의 유량이 많고 물길이 완만한 중/하류에 서식하면서 중층/표층대를 빠르게 배회하다가 수면 쪽에 있는 갑각류, 수서곤충 및 다른 물고기의 치어나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고 사는 어종입니다. 몸은 옆으로 몹시 납작하고 50-100 cm까지도 자라는, 잉어목 잉어과 대형 민물고기입니다. 청어목에 속하는 준치와는 다른 동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준치리뷰도 해야겠네요. 겨울에는 수심이 깊은 곳에서 지내며 어린 개체들은 얕은 곳에서 지내는 편입니다. 산란기는 3~7월이며 주로 5월 중순에서 6월 상순까지입니다. 알은 끈끈한 점액질에 싸여 있어 수초에 붙여 산란한다고 합니다. 물고기 중에서도 정말 맛이없기로 유명한 생선입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 진석기시대가 2019년 12.. 2023. 5. 4. 민물고기 - 철갑상어 철갑상어란 무엇일까? 애초에 상어도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종은 대부분 작은 개체이다 보니 '애걔, 이게 왜 상어야?' 하는 궁금증을 자아내지만, 성체, 특히 러시아에 서식하는 벨루가, 칼루가같은 경우, 상어는 명함도 못 내밀 정도라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로 매우 거대한 어종입니다. 상어는커녕 범고래, 흰돌고래같은 소형 고래랑 비교해야 할 정도로 작은 어종입니다. 한국에 자생하는 중국철갑상어는 이 정도까진 아니어도 최대 3m까지 충분히 자랄수 있는 어종입니다. 충분히 민물의 상어라 불릴 만한 사이즈겠지요. 이런 특징 때문에 세계 각지의 호수나 강에 산다는 괴생명체의 정체로 손꼽히기도 합니다. 위에 서술했듯이 성체의 덩치가 어마어마하게 크기때문에 가능성이 매우 높은 축에 속하지요. 다만 성질이 온.. 2023. 5. 3. 민물고기 - 산천어 산천어란 무엇일까 물이 맑고 아주 차가우며 물 속 산소가 풍부한 하천의 최상류에 살고 있습니다. 주로 물 속에 사는 곤충,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 등을 먹으며 수명은 3년 내외로 상당히 짧게 사는 편입니다. 산천어 낚시에는 주로 가짜 미끼를 사용하며 성질이 급한 편이라 잡아도 금방 죽어버립니다. 연어목 연어과인 한국의 민물고기로써 송어의 육봉형으로 몸길이는 송어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고 생김새도 송어의 새끼와 비슷한편입니다. 수온이 20도가 넘지 않고 산소가 풍부한 강 상류의 맑은 물에서 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동해로 흐르는 강에 분포하여 살고 있습니다. 강이나 계곡에 사는 산천어는 수컷의 비율이 훨씬 더 높은데, 암컷은 바다로 나갔다가 산란철이 되면 연어처럼 강으로 돌아오고 수컷은 강이나 계곡에.. 2023. 5. 2. 민물고기 - 잉어 잉어란 무엇일까 잉어과아 속하는 민물고기 입니다. 네 포스팅에서 민물고기를 소개하는 건 처음이네요. 풀이나 살아 있는 물고기 등 아무거나 가리지 않고 잘 먹는 잡식인 데다가 몸집도 상당하여 성체는 맹금류, 왜가리 같은 대형동물 외에는 천적이 없으며, 염분에도 상당 기간 생존할 수 있고 2급수 이하 더러운 물에서도 잘 살아간다고 합니다. 본래는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서식하던 물고기였으나 원래 서식하지 않았던 호주나 미국 같은 경우 양식 (관상) 어종으로 유럽이나 아시아에서 들어온 잉어들이 야생으로 빠져나가 환경파괴와 생태계교란 따위 문제를 일으키는 외래종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중입니다. 잉어가 서식하던 유라시아 지역은 예외라고 보셔야겠네요. 한국에서는 옛부터 내려오던 신화 속 물고기로 불립니다. 옛 속.. 2023. 4. 2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