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철 해산물121

제철 해산물 - 개불 개불이란 무엇일까환형동물문의 다모류로서 갯지렁이와 가까운 생물로 취급받고 있습니다. 허지만 아직 학술적으로 더 연구와 정의가 필요한 생물이라고 합니다. 개불 색깔은 주황색 노란색 검무튀튀한색 등 다양해 보입니다. 이는 서식지와 먹이감 따라 제각각 다르게 보이는 것이라거고 합니다. 항문에 왕관모양처럼 10개정도의 긴 가시가 존재하고 있으며, 항문으로 (!) 산소를 호흡한다고 합니다. 입에는 강모가 있으며, 눈은 퇴화되어서 존재하지 않습니다. 몸 안에는 물을 빨아 몸을 통통하게 하는 물주머니가 존재합니다. 몸길이 10~30cm 정도이며, 조간대 또는 그 아래 지역의 사니질 퇴적물에 U자관을 만들어 살고 있습니다. U자관 내에 개불 외에 다른 공생 생물이 존재하며, 비늘갯지렁이류(Hesperonoe), 속살이.. 2023. 6. 2.
제철 해산물 - 맛조개 맛조개란 무엇일까 우리나라에서는 전 연안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2m 전후의 모래 바닥에서 살고 있죠. 바닥 표면에서 30cm 이상 깊이에 땅을 파고 숨어서 살고 있다고 합니다. 이름의 어원으로 '맛이 있어서 맛조개'라고 한다고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름에 비해선 사실 그렇게까지 특별한 감칠맛이나 향은 부족한 편이라 식재로로서의 인기는 그리 큰 편은 아닙니다. 길쭉하게 생긴 생김새가 특징. 죽합과라는 종류는 원통형으로 길쭉한 것이 마치 대나무 마디를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림입니다. 맛소금을 뿌려서 잡는다고 맛조개도 아니며, 대나무를 닮았다고 붙여진 이름입니다. 껍데기는 의외로 얇고 잘 부서지며, 몸 전체를 덮고 있는 황갈색의 각피도 마르면 쉽게 벗길 수 있습니다. 보통은 모래갯.. 2023. 5. 31.
제철 해산물 - 피조개 피조개란 무엇일까피조개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무척추동물인데도 개불처럼 혈액에 헤모글로빈이 있어 척추동물처럼 피가 붉은색을 띄고 있기 때문입니다. 막과는 근연종으로 생김새도 꼬막을 확대한 듯한 생김새입니다. 보통 계란만할 때 유통하다 보니 일반인들 눈엔 '그냥 좀 큰 꼬막' 정도로 보이지만, 사실 다 자란 종은 각장이 무려 12cm까지도 커질 수 있는 대형종입니다. 일본에서는 아카가이(アカガイ), 즉 붉은 조개(赤貝)라고 부르는데 주로 초밥 재료로 사용합니다. 피조개를 반으로 잘라서내장을 씻어내고 칼집을 넣어서 넓게 펴서 초밥 위에 올려서 먹는데, 독특한 풍미와 식감 때문에 초밥 재료로 아주 인기가 높은 네타입니다. 대신 난이도가 높아서 피를 너무 안 씻으면 비린맛이 나고, 너무 씻어버리면 피조개 특유의 .. 2023. 5. 26.
제철 해산물 - 명태 명태란 무엇일까 명태는 대구과에 속하는 생선입니다. 일본에서도 명태(明太)는 한자를 그대로 써서 '멘타이(めんたい)'로 읽습니다. 그리고 '명란젓'은 '멘타이코(明太子)'라고 읽습니다. 그리고 중국의 동북 지방에서는 조선족의 영향으로 밍타이위(명태어, 明太鱼)라는 말도 쓰이고 있으며 대만에서도 명태(明太)라는 단어가 그대로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에서도 명태를 '민타이(минтай)'로 읽는데, 한국어가 중국 동북 지방을 거쳐서 전해졌을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어원이 한국에서 건너갔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명태가 한국에서 과거에 워낙 많이 잡혔고 많이 먹는 생선이라, 다른 국가에서도 명태를 부르는 어원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어로기술의 발달을 상징하는 케이스라는 이야기도 상당히 많습니다.. 2023.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