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미료

들깨란 무엇일까 들깨의 성분과 효능

by Cidar 2023. 11. 6.
반응형

들깨

들깨란 무엇일까

우리나라에서 참기름 다음으로 먹는 들기름을 만드는 들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들깨는 꿀풀목 꿀풀과 들깨속 식물로, 동아시아 등지에서 식재료로 사용합니다. 깻잎이 바로 들깨의 잎입니다. 모르는 사람들이 은근히 많죠. 이름이 들깨지만 참깨와는 완전히 다른 식물입니다.

 

향이 강해 다소 호불호가 갈립니다. 이 독특한 향은 곤충에게도 영향을 미치므로 농약이 별달리 없던 시절에는 논, 밭두렁에 심어 해충을 쫓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해충이 안 붙는 작물은 아니라서, 텃밭에서는 농약을 치지 않고 기르기에 무리없지만 가끔 잎이 좀먹곤 합니다. 아파트 베란다 등에서 재배한다면 잎 뒷면에 벌레가 꼬이지 않는지 꼭 점검하고, 있으면 천연물 농약이라도 쳐주어야 좋습니다. 바람 쐰다고 창을 열어두었다가 벌레가 날아와 붙어서 번식하기 시작하면 답이 없습니다.

 

들기름과 참기름의 맛을 비교하면 풍미가 확실히 다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참깨는 오메가6를 많이 함유했지만, 들깨는 오메가3를 상당히 많이 포함하였습니다. 들깨는 식이섬유 또한 많아서 변비를 완화시켜 쾌변에 도움을 준다. 들깨탕 등으로 자주 섭취하면 좋습니다.

 

들깨는 주로 들기름으로 짜서 먹거나 가루를 내서 들깨탕을 만들어 먹고 막국수로도 음용이 가능합니다. 들깻가루는 추어탕 감자탕, 순댓국에 넣어 먹으면 비린내도 제거되며 한 층 더 깊은 국물맛을 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생선 같은 비린내가 날 수 있는 국에 넣으면 역시 맛이 좋습니다.

 

국이나 찌개 등에 사용하면 다소 걸쭉해지기 때문에 조리할 때 유의해야 하는데, 반대로 일부 지역은 추어탕에 이런 특성을 이용해서 사용하여 진한 국물을 만듭니다. 갈색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거칠게 빻은 것을 들깨피라고 하며 탕류에 넣습니다. 껍질을 제거한 뒤 찹쌀을 섞어 빻은 들깨가루는 무침용으로 사용합니다. 용도가 다르므로 구분해서 부르는 듯합니다.

 

들깨의 성분과 효능

 

여름철 체력저하시나 산후 회복에도 도움을 주며, 변비증 치료와 중풍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또한 들깨를 그대로 씹어 먹으면 심한 변비증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좋으며 특히 고혈압 환자에게 변비가 생겼을 때 생들깨를 씹어 먹으면 윤장작용으로 변통이 잘 되어 중풍의 예방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들깨의 특징을 보면 자양강장제로서 효험이 있고 특히 여성의 건강과 미용에 좋으며 풍부한 식물성 지방이 혈관의 노화를 방지해 줍니다.

또한 들깨는 고급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어 성인병을 예방하며 천식에도 유효합니다.

그리고 비타민 E·F가 들어있어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미용효과도 있으며 특히 머리카락에 윤기를 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