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https://blog.kakaocdn.net/dn/MfsOc/btsrjq5yT79/IjfOb7t5rrAi6uwUGPxIq1/img.jpg)
귤이란 무엇일까
귤은 감귤나무의 열매로 모양은 둥글납작하고 빛깔은 주황 혹은 붉은색이었다. 수분이 풍부하고 맛이 시큼하면서도 달며 껍질을 벗기기 편리한 것과 같은 여러 장점들을 지니고 있어서 인류에게 오랜 기간 사랑 받고 있습니다. 사과처럼 겨울 제철 과일이죠. 같이 주스로 갈아 먹어도 맛있습니다. 귤 말고도 천혜향, 한라봉, 오렌지, 레드향 등 다른 종도 넣어도 맛있습니다.
잎이 짙은 녹색이다보니 착시를 일으켜 잘 익은 과실만 수확한다고 해도 따고 보니 덜 익었거나 잘 익혀도 부분적으로 색이 덜 나거나 하는 경우도 매우 흔합니다. 어느 쪽이든 품질엔 문제가 없지만 하도 사람들이 초록색이 박힌 귤은 다 안 익은 줄 알고 안 사다 보니 귤을 따자마자 착색을 돕는 에틸렌 가스를 강제로 뿌려서 전부 귤의 주황색을 만들어버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귤은 금방 무르고 썩어 버립니다. 강제 착색한 귤을 쉽게 구별하는 방법이 있는데 색이 전체적으로 연하고 꼭지가 바싹 말라 갈색으로 변해있으면 강제 착색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오래 저장한 감귤 역시 꼭지가 말라 갈색으로 변하므로 꼭지 상태만 봐도 신선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조생감귤의 수확철이 아닌데 노랗게 익은 감귤이라면 구매를 피하고 맛이 덜하더라도 초록빛을 띄는 감귤이 정상입니다.
잘 숙성하여 수확하는 방법도 있으나 배송과정에서 당연히 상하게 되며 따기도 전에 상해버리는 양도 많고 수확한 귤도 금방 썩어 보관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가격 면에서도 그다지 이득이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 부분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손해이므로 지속적인 홍보와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귤을 삼국시대 이전부터 재배해왔으나 한반도 본토에서 기르기 힘들어, 제주도 정도를 제외하면 왕족이나 먹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탐라지에 따르면 백제 문주왕 2년(476) 탐라국에서 지역 특산물로 귤을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고려사에 고려 문종 6년(1052)에 탐라국에서 세금으로 받아오던 귤의 양을 늘린다는 부분이 있어 이때부터 귤을 진상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가 자주 먹는 귤 품종은 중국 저장성의 원저우 밀감이며 일본 규슈로 건너가 씨가 없는 감귤로 개량된 품종으로 재일교포들이 친척에게 보내준 묘목에서 조금씩 생산하기 시작해 제주를 대표하는 산업으로 성장한 것이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산 귤이 유통되었으나 그 이후 일본산 귤이 수입되지 못한 영향이 컸스니다.
사실 제주도에 원저우 밀감을 도입한 사람은 20세기 초 프랑스 출신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 에밀 타케(Emile Taquet, 1873~1952) 신부입니다. 1911년 타케 신부는 일본 아오모리에서 선교하는 위르뱅 포리 신부에게 왕벚나무 묘목을 보낸 답례로 온주밀감 묘목 14그루를 받아 현재 서귀포시 서홍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면형의 집’에 심었습니다. 제주에서는 에밀 타케 신부가 심은 때를 기해 제주 감귤 100주년 행사를 기획한 적도 있었지만 윗사람이 바뀌고, 토종귤의 역사가 더 오래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α 해서 무산되었었습니다.
귤의 효능
감귤은 각종 비타민을 시작으로 무기염류, 섬유질의 중요한 섭취원으로 건강유지와 질병 예방에 유효한 기능성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됐다.
'제철과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잭푸르트란 무엇일까, 잭푸르트의 효능과 성분 (0) | 2023.08.31 |
---|---|
패션프루트란 무엇일까, 패션후르트의 성분과 효능 (0) | 2023.08.30 |
망고란 무엇일까, 망고의 효능과 성분 (0) | 2023.08.28 |
키위란 무엇일까, 키위의 효능과 성분 (0) | 2023.08.27 |
배란 무엇일까, 배의 효능과 성분 (0) | 2023.08.24 |
댓글